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 유통 중인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 269개 품목에서 발암 우려 물질이 검출됐다며 제조·수입 및 판매를 중지하기로 했다.
↓↓↓↓원본기사 보기↓↓↓↓
http://www.peoplesafe.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7000000&gisa_idx=12723
식약처, 주요 위장약 269품목 판매 중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내 유통 중인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 269개 품목에서 발암 우려 물질이 검출됐다며 제조·수입 및 판매를 중지하기로 했다. 식약처가 '라니티딘' 성분이 들어간 원료의약품 269개 품목에 ...
www.peoplesafe.co.kr
식약처는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을 수거·검사한 결과 NDMA(N-니트로소디메틸아민)가최대 53.5ppm 검출되는 등 잠정관리 기준 0.16ppm을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26일 밝혔다.
라니티딘 성분은 위궤양치료제나 역류성 식도염 치료제 주원료로 사용된다.
NDMA는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IARC)가 사람에게 발암물질로 작용할 가능성 있다고 지정한 인체 발암 추정물질(2A)을 말한다.
식약처는 라니티딘 성분 원료의약품을 사용한 국내 유통 완제의약품 전체 269품목에 대해 잠정적으로 제조·수입 및 판매를 중지하고, 처방을 제한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식약처는 라니티딘에 포함된 '아질산염'과 '디메틸아민기'가 시간이 지나면서 자체적으로 분해 결합하거나, 제조 과정 중 아질산염이 비의도적으로 혼입돼 NDMA가 생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을 단기 복용한 경우 인체 위해 우려는 크지 않다고 식약처는 설명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해당 의약품 복용 중인 환자는 144만3,064명이라고 전했다. 또한, 위장질환 등으로 처방받은 환자가 가장 많고, 연간 6주 이하 단기복용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식약처는 '라니티딘 인체영향 평가위원회'를 구성해 라니티딘 성분 의약품에 장기간 노출됐을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평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해당 의약품을 복용하고 있는 환자 중 안전에 우려가 있다면 병·의원을 찾아 상담을 받으라고 당부했다.
한편, 상담을 통해 해당 의약품에 대한 재처방, 재조제를 받을 경우 1회에 한 해 본인부담금을 내지 않아도 되며, 조치 대상 의약품 가운데 처방 없이 구입 가능한 일반의약품은 약국에서 교환·환불받을 수 있다.
식약처는 제약사가 현재 유통 중인 해당 의약품을 원활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제약사에 의약품 유통정보를 제공하고, 도매업체, 의료기관, 약국에도 의약품 공급내역 정보를 제공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더 자세한 잠정 판매중지 및 처방제한 의약품 목록은 식약처 홈페이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농식품부, 돼지 일시이동중지명령 48시간 연장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 돼지 일시이동중지 명령을 48시간 연장하기로 했다. 전날에만 아프리카돼지열병 의심 사례 3건이 발생하는 등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에 따른 조치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농식품부는 전국...
www.peoplesafe.co.kr
매일안전신문 다우니, 피죤 섬유유연제 5개 제품서 미세플라스틱 검출됐다
5종 섬유유연제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사진=신윤희 기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섬유유연제 제품 상당수에서 미세 플라스틱 성분이 검출됐다. 섬유유연제 제품에서 미세 플라스틱 검출이 확인된 것은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2...
www.peoplesafe.co.kr
쿠팡 브랜드 - 마케마케 위생 롤백 중형 25 x 35cm
COUPANG
www.coupang.com
락앤락 향균 스테커블 냉장고 정리 밀폐용기 7p 세트 LBF806S7N
COUPANG
www.coupang.com
'안전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즐거운 가을 나들이, 안전신고는 안전신문고를 통해... (0) | 2019.10.01 |
---|---|
나혼자산다! 1인가구 나홀로족을 위한 최고의 발명품은? (0) | 2019.09.30 |
포항 2.3규모 지진..기상청 "피해는 없을 것" (0) | 2019.09.26 |
꼬치막대 나무젓가락 이쑤시개 등 일회용 목재류 이제 안심하고 사용하자 (0) | 2019.09.24 |
제17호 태풍 타파 피해 속출...태풍피해시청자제보영상 (1) | 2019.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