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워지는 날씨에 난방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기상청은 지난 10월 8일 한파주의보를 발효했다. 2004년 이후 추위가 빨리 찾아왔다.
이에 행정안전부는 예년보다 이른 추위에 가스보일러 사고를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국가스안전공사의 가스사고연감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총 26건의 가스보일러 사고가 발생해 54명의 인명피해가 일어났다. 이 중 21명이 사망했고 33명이 부상당했다.
또한, 전체 인명피해(54명) 중 53명이 일산화탄소 중독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가스보일러 사고 원인으로는 시설미비로 인한 사고가 18건(69%)으로 가장 많았고, 제품노후·고장(2건, 23%), 기타·원인미상(2건, 8%) 순으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강릉의 한 펜션에서 가스보일러 배기구에서 가스가 누출돼 실내로 유입되면서 3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발생했었다.
이에 따라 가스보일러 사용 전에 배기통 등을 미리 점검해 가스중독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가스보일러 가동 전 배기통이 빠져있거나 찌그러진 곳은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특히 배기통 내부에 이물질이 쌓여 있거나 구멍난 곳은 없는지 등 꼼꼼히 잘 살펴야 하며 사용 중에도 주기적으로 배기통이 꺾여 있거나 쳐져있지는 않은지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가스보일러 사용 시 과열이나 소음, 진동, 냄새 등이 평소와 다를 경우에는 전원을 끄고 전문가의 점검을 필히 받아야 한다. 1년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전문가에게 안전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가스보일러는 무엇보다 환기가 제일 중요하다. 빗물이나 찬바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환기구와 배기통을 막아놓으면 일산화탄소 등 유해가스가 실내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환기구는 항상 열어둔다.
가스온수기의 경우 목욕탕, 화장실에 설치하지 않고 환기가 잘되는 외부에 설치해야 한다. 설치할 때는 반드시 전문가에게 맡겨야 한다.
아울러 영하로 떨어지는 추운 날에는 보일러 동파 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와 연결된 배관을 보온재로 감싸주는 것이 좋다.
단, 헌옷 등으로 감싸놓으면 누수가 생겼을 때 헌옷에 베인 물로 인해 오히려 동파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 서철모 예방안전정책관은 “가스보일러 사고 중 배기통 이탈 등의 시설미비로 인한 사고가 늘고 있는데, 이는 보일러 설치 후 정기적인 점검 없이 사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며 “각 가정에서는 가동 전 점검은 물론이고 보일러에 이상이 없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안전한 겨울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심층 시리스/안전사회를 위한 실천] ⑦현관 자동도어락(Doorlock), 비상시 문제!
전 국민을 충격속에 몰아 넣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10월6일로 꼭 2,000일이 되었다. 66개월, 5년6개월이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안전한 나라,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우리의 인식, 관행, 제도, 법규 등 시스템 전반을 뜯어고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세월호 참사를 통해 어떤 교훈을 얻었고 무엇을 바꿔왔던가. 돌이켜보면 부끄럽고 안타깝기 짝이 없다. 화재, 붕괴, 침수, 추락 등 수많은 사고가 주변에서 끊이
www.peoplesafe.kr
10년 이상된 노후 냉장고·김치냉장고, 화재 주의해야
내구연수가 지나 가전제품에서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만큼 소비자들이 안전에 각별히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사진=신윤희 기자)가전제품의 무상 애프터서비스(AS) 기간은 얼마일까. 제품품질보증서에 의해 대체로 구입일로부터 1년 이내다. 1년이 넘어 고장이 난 경우에는 비용을 지불하고 수리를 받아야 한다.소비자들에게 이 정도는 상식이다.그렇다면 TV의 내용연수는 얼마일까. 내용연수는 어떤 제품이 생산되어 수명을 다할 때 까지의 연수를 말한다. TV 내
www.peoplesafe.kr
곰표한일 무자계 안심 전기요
COUPANG
www.coupang.com
소싱 웜베이비 미니 온풍기 캠핑
COUPANG
www.coupang.com
'안전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후 아파트 엘리베이터(승강기) 사고...제도 개선 필요하다 (0) | 2019.11.22 |
---|---|
어린이보호구역 교통사고...김민식군 어머니, '‘국민이 묻는다, 2019 국민과의 대화’의 첫 질문 (2) | 2019.11.20 |
현관문도어락 안전문제!! 안열림, 잠김, 쉽게 열림... (0) | 2019.11.18 |
강남역 진흥종합상가 화재...정확한 피해규모 확인 중 (0) | 2019.11.15 |
수능 마치고 여행가는 수험생을 위한 여행안전수칙! (0) | 2019.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