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재일보

남부지역서 작은빨간집모기 발견...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3월 24일 제주, 전남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채집 됨에 따라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다.

[원본기사 보기]

 

제주, 전남서 작은빨간집모기 발견...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일본뇌염 매개 곤충인 ‘작은빨간집모기’의 모습으로 약4.5mm (사진, 질병관리본부 제공) 질병관리본부 본부장 정은경은 3월 24일 제주, 전남지역에서 올해 첫 번째로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

www.newssanjae.kr

일본뇌염 주의보는 매년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3~11월)에서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가 처음 채집되었을 때 발령하는데, 올해 주의보 발령은 작년에 비해 약 2주 빨랐다.

이는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채집된 남부지역(제주, 부산, 전남)의 1~2월 평균기온이 평년대비 2.3~2.6℃ 상승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질본 담당자는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 경우 99% 이상이 무증상 또는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이지만, 250명 중에 1명꼴로 치명적인 급성 뇌염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중 20~30%는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라는 결과를 공개했다.

또한,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는 예방접종과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라며, “일본뇌염 매개모기의 활동이 시작됐으므로 야외 활동 시와 가정에서 모기 회피 및 방제요령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했다. 

특히 생후 12개월~만 12세 어린이는 전국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야외활동 시 밝은 색의 긴 옷 착용하고, 노출 부위엔 모기 기피제 사용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가정 내에서는 방충망 또는 모기장을 사용하고, 집 주변의 유충 서식지(고인 물)를 없애야 한다"라고 공표했다.

 

중소벤처기업부, 코로나19 피해 지원 위해 3조 1천억 원 확보

중소벤처기업부, 코로나19 피해 지원 위해 3조 1천억 원 확보 18일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장관 박영선은 2020년 1차 추가 경정 예산안 국회 심사과정에서 정부안 보다 1조 3,809억 원 늘어난 3조 667억 원을...

www.newssanjae.kr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추가 발생, 누적 폐사체 총 439건

야생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검출 현황 (사진제공=환경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원장 장윤석은 3월 25일 경기, 강원 일대 멧돼지 폐사체 9개체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바이러스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번 아...

www.newssanjae.kr

 

 

 

제주삼다알로에 참조은 90% 알로에주스 100g (냉동)

COUPANG

www.coupang.com

 

 

코멧 아기물티슈 오리지널 캡형

COUPANG

www.coup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