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뉴스

"LG 의류건조기, 자동세척이라더니....." 145만대 전 제품 무상수리

최근 악취와 먼지 낌 현상 등으로 논란이 된 ‘콘덴서 자동세척’ 의류건조기 145만대에 대한 무상수리가 이뤄진다.

↓↓↓↓원본기사 보기↓↓↓↓

http://www.peoplesafe.co.kr/news_gisa/gisa_view.htm?gisa_category=02000000&gisa_idx=12053

 

매일안전신문 LG 의류건조기, 자동세척이라더니..... 145만대 전 제품 무상수리

최근 악취와 먼지 낌 현상 등으로 논란이 된 ‘콘덴서 자동세척’ 의류건조기 145만대에 대한 무상수리가 이뤄진다. LG전자는 29일 한국소비자원 시정권고에 따라 2016년 4월부터 판매한 ‘트...

www.peoplesafe.co.kr

 

 

 LG전자는 29일 한국소비자원 시정권고에 따라 2016년 4월부터 판매한 ‘트롬 듀얼인버터 히트펌프 건조기’ 145만대에 대해 기존 부품을 개선된 부품으로 교체하는 무상수리 조치를 단행하기로 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해당 건조기를 사용하는 50개 가구를 대상으로 현장점검한 결과 39대(78%)에서 콘덴서 전면면적 대비 먼지 축적면적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11대는 그 이상이었다.

 

 

제품모델 용량에 따라 편차가 컸는데, 대형건조기에 먼지가 쌓이는 사례가 더 많았다.

 점검 결과 8, 9kg의 소형 용량은 점검대상 30대 중 28대가 ‘10% 미만’이었다. 반면 반해, 14, 16kg 대형 용량은 점검대상 20대 중 11대만이 ‘10% 미만’이었다. 

소비자원은 해당 건조기의 ‘콘덴서 자동세척’ 기능이 미흡해 콘덴서에 먼지가 쌓이고, 자동세척에 활용된 응축수(세척수)가 배출되지 않고 내부에 남아 곰팡이와 악취가 발생한다는 제보가 다수 제기됨에 따라 현장점검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콘덴서에 먼지가 쌓이는 원인은 사용 조건에 따라서는 콘덴서 자동세척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 등 세척기능 조건 설정이 미흡해서로 보인다. 특히 대형건조기의 경우 필터가 아닌 다른 경로로 먼지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가 없다.

 자동세척 기능이 작동하려면 건조과정 중 내부바닥에 1.6~2L의 응축수가 모여야 하는데, 소량의 의류를 건조할 경우 응축수가 적게 발생하고 ‘침구털기’ 등 건조 이외 기능을 사용할 때에는 응축수가 아예 발생하지 않아 자동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소형건조기는 필터 결착부위에 고무재질의 실링 처리가 되어 있어 본체와 필터 사이의 틈으로 먼지가 유입되는 걸 막을 수 있지만 대형건조기의 경우 실링 처리가 되지 않아 쉽게 먼지가 들어가는 구조였다.

 콘덴서 건조방식은 열교환기를 통과한 약 70℃ 고온의 공기가 드럼 내부 의류의 물기를 말린 뒤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저온의 콘덴서를 통과하면서 응축수를 남기는 과정을 히트펌프로 반복하는 방식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LG전자에 대해 콘덴서에 먼지가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고 잔존수를 최소화하는 방안, 녹 발생으로 인한 제품성능 저하 발생 시 조치 방안을 마련하도록 권고했다.

 LG전자는 이를 수용해 세척 프로그램 개선 등 콘덴서 내 먼지 축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판매 제품 전량에 적용하기로 했다. 일정량의 응축수가 모여야만 작동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앞으로 응축수 양과 관계없이 건조기능 사용 시 매번 작동하도록 개선해 모든 판매 제품에 적용키로 했다 대형건조기의 경우, 필터 이외 틈새로 유입되는 먼지를 막기 위해 결착 부위에 고무 재질로 실링한 부품으로 전량 교체수리하기로 했다. 건조기 내부바닥(베이스 판) 및 배수펌프의 구조를 개선해 잔존수도 최소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