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전뉴스

서울 은평 새절역-관악 서울대입구역 '서부선 경전철' 2028년 뚫린다

서울시는 은평구 새절역에서 신촌, 노량진, 서울대입구역까지 이어지는 ‘서부선 경전철’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2028년에 뚫릴 예정이다.

서울시는 22일 ‘서부선 경전철’ 민간투자사업이 한국개발연구원 공공투자관리센터(KDI PIMAC)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전했다. 이는 2000년대 초 노선을 계획한지 20년만의 결실인 것이다.

‘서부선 경전철’은 대표적인 교통소외지역인 서북권과 서남권을 이어주는 도시철도로 은평구 새절역(6호선)에서 관악구 서울대입구역(2호선)까지 총 연장 16.15km, 16개 정거장으로 건설되고, 기존 5개 간선 도시철도와 환승하며 연계하는 지선노선이다.


시는 이번 민자저격성 조사가 통과됨에 따라 앞으로 민간투자심의 등 관련 행정절차를 거쳐 올해 하반기에는 시행사·운행사 선정을 위한 제3자 제안공고를 실시한다. 아울러 2023년까지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착공에 나서 2028년에는 개통될 수 있도록 사업관리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서부선 경전철’이 완공될 경우에는 과도하게 우회하던 이동경로와 복잡하게 환승으로 지체됐던 이동시간이 대폭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시에 따르면 현재 시점인 새절역에서 마지막 종점인 서울대입구역까지 이동시간은 지하철 최단시간 기준으로 1회 환승, 약 36분이 걸린다. 그러나 서부선 경전철이 완공되면 약 22분으로 14분이 단축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종점인 서울대입구에서 노량진과 장승배기로 이동할 경우 각각 약 23분에서 7분으로, 약 22분에서 6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보인다.

시는 “‘서부선 경전철’이 신촌, 여의도와 같이 대학·상업·업무지구 등 통행수요가 많은 지역까지 한번에 연결하고, 1·2·6·7·9호선과도 환승하며 주요구간의 통행시간이 최대 16분 단축돼 출퇴근 등 이동시간이 크게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사업계획은 2000년 발표한 ‘교통정비 중기계획’에 처음으로 반영된 후 2008년과 2015년에 수립한 ‘1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계속해서 포함됐다. 현재는 국토부 승인 과정인 ‘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반영됐다고 밝혔다.

시는 “이번 사업이 대중교통 사각지역 해소를 위한 핵심사업 중 하나이자 지역주민의 오랜 숙원사업”이라며 “서북·서남부를 도심부와 직결하는 새로운 교통축을 완성하여 지역 균형발전을 촉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북권과 서남권은 그동안 각종 개발에서도 소외된 지역이기에 서부선 경전철은 지역균형발전의 상징성을 갖고 있다‘며 ”20년 간 기다려오신 지역 주민들의 삶의 편의를 높이고 지역 활성화를 견인하는 계기가 되도록 최선을 다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시는 지난 2017년 3월 ‘서부선 경전철’ 사업의 민자적격성 조사를 의뢰했다. 이후 최신 데이터베이스(KTDB) 적용, 검토기간 중 확정된 철도 계획 추가 반영, KTDB 연구기관으로 하여금 수요예측을 위한 효용함수를 개선하도록 유도하는 등 정확한 분석이 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 겨로가 올해 6월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했다. 

 

 

서울 은평~관악 ‘서부선 경전철’, 2028년에 개통된다 - 매일안전신문

[매일안전신문] 서울시는 은평구 새절역에서 신촌, 노량진, 서울대입구역까지 이어지는 ‘서부선 경전철’이 민자적격성 조사를 통과함에 따라 2028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서울시는 22일 ‘

www.idsn.co.kr

 

 

상반기 자동차세 30일까지 내주세요~~~...하반기 2기분 선납시 10% 공제혜택 - 매일안전신문

[매일안전신문] 행정안전부는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차량에 부과하는 2020년도 제1기분 자동차세 납세편의 서비스를 활용해 오는 30일까지 납부할 것을 소유주들에게 안내했다. 자동차세��

www.idsn.co.kr